📖 서평
2025년 7월 31주차 박스오피스는 강력한 신작의 등장과 기존 흥행작의 지분 싸움이 정면 충돌한 주간이었다. 실사 블랙코미디 스릴러 ‘좀비딸’이 개봉과 동시에 180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압도적 1위에 올랐고, 장기 흥행 중인 ‘F1 더 무비’와 ‘전지적 독자 시점’은 다소 하락세에도 상위권을 유지했다. 반면 ‘판타스틱 4’, ‘킬 오브 킹스’ 등 전주 강세를 보이던 작품들은 스크린 수와 관객 감소에 따라 순위가 조정됐다. 여름 성수기의 중심에서, 신작 개봉 효과가 극대화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다.
🎥 2025년 7월 31주차 박스오피스 TOP 10
1위. 좀비딸
- 개봉일: 2025‑07‑30
- 관객수(주간/누적): 183.6만 / 186.6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170.8억 / 173.8억 원
- 스크린 수: 1,589개관
이윤창 원작 웹툰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을 실사로 각색한 블랙코미디 스릴러. 좀비가 된 딸과 평범한 가장의 일상을 중심으로 가족애와 사회적 위선을 유머와 공포로 풀어낸다. 필감성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조정석, 이정은, 조여정, 윤경호 등 실력파 배우들이 출연한다. 개봉 첫 주에만 180만 명을 넘기며 여름 극장가를 단숨에 장악했고, 한국형 B급 장르물의 흥행 가능성을 증명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2위. F1 더 무비
- 개봉일: 2025‑06‑25
- 관객수(주간/누적): 70.3만 / 309.7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72.5억 / 330.7억 원
- 스크린 수: 965개관
실제 F1 서킷에서 촬영된 브래드 피트 주연의 실사 레이싱 영화. 루이스 해밀턴이 제작에 참여했고, 실존 팀이 지원하여 리얼리티와 드라마를 동시에 구현했다. 은퇴한 드라이버의 복귀와 신인 선수들과의 갈등을 축으로, 속도감과 인간미를 함께 잡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개봉 6주 차에도 식지 않은 관객 반응을 유지 중이다.
F1: 더 무비 리뷰 – 눈과 귀로 즐기는 속도의 미학
F1: 더 무비 리뷰 – 눈과 귀로 즐기는 속도의 미학
속도, 엔진음, 그리고 현장감이 전부인 영화 《F1: 더 무비 (F1: The Movie, 2025)》는 눈과 귀로 즐기는 영화다. 브래드 피트가 주연을 맡고 조셉 코신스키 감독이 연출한 이 작품은 한때 주목받았지만
wordtobus.com
3위. 전지적 독자 시점
- 개봉일: 2025‑07‑23
- 관객수(주간/누적): 34.4만 / 97.2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30.0억 / 93.0억 원
- 스크린 수: 1,093개관
싱숑의 동명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전세계가 소설 속 세계로 변한 이후의 생존과 전투를 그린 판타지 액션물이다. 김독자라는 한 명의 독자만이 세계의 결말을 알고 있으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재구성해 나간다.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출연. 개봉 2주 차에 진입하며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높은 CG 완성도와 몰입감 있는 서사로 지지를 얻고 있다.
🎬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개봉 후 반응 총정리 — 관객은 웃고, 평론은 물음표를 던지다
🎬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개봉 후 반응 총정리 — 관객은 웃고, 평론은 물음표를 던지다
2025년 7월 23일, 마침내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이 개봉했다. 오랜 팬들의 기다림 끝에 공개된 이 작품은 웹소설과 웹툰을 모두 아우르는 대형 판타지 콘텐츠의 실사화라는 점에서 시작 전부
wordtobus.com
4위. 킹 오브 킹스
- 개봉일: 2025‑07‑16
- 관객수(주간/누적): 28.4만 / 101.4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26.4억 / 95.6억 원
- 스크린 수: 805개관
장성호 감독이 연출한 기독교 애니메이션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어린 시절부터 십자가까지 담담하게 그려낸다. 찰스 디킨스의 문학 모티브를 응용한 구성으로 기존 종교 콘텐츠와는 다른 정서적 연출을 보여주며, 신앙교육용뿐 아니라 일반 관객층의 관람도 이어지고 있다.
🎬 킹 오브 킹스 한국개봉 소식과 더빙 캐스팅 이병헌,진선규,이하늬
🎬 킹 오브 킹스 한국개봉 소식과 더빙 캐스팅 이병헌,진선규,이하늬
1. 🇺🇸 북미 개봉 및 흥행 성과개봉 일자: 2025년 4월 11일 (미국 앤젤 스튜디오 배급)개봉 주말 성적오프닝 주말 수익: 약 1,940만 달러 기록하며, 애니메이션 종교 영화 오프닝 최고 기록 경신2주
wordtobus.com
5위.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 개봉일: 2025‑07‑24
- 관객수(주간/누적): 19.9만 / 54.1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20.7억 / 58.8억 원
- 스크린 수: 891개관
마블 리부트 시리즈로, 새로운 캐릭터들과 함께 초능력을 얻게 된 네 명의 과학자들이 팀워크를 통해 인류의 위협에 맞서는 이야기. 기존 시리즈보다 현실적이며 심리 중심적인 연출이 강조되었으며, MCU의 새로운 흐름을 암시하는 연결 포인트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2주 차부터는 하락세 진입.
6위. 배드 가이즈 2
- 개봉일: 2025‑07‑30
- 관객수(주간/누적): 18.9만 / 20.0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17.0억 / 18.1억 원
- 스크린 수: 765개관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대표 프랜차이즈의 속편으로, 전편에 등장한 도둑 동물들(늑대, 상어, 피라냐 등)이 이번에는 정체불명의 악당과 대결을 벌이게 된다. 유쾌한 대사, 빠른 전개, 메시지 있는 스토리가 균형을 이루며 가족 단위 관객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개봉 첫 주 신작임에도 다소 순위는 낮지만 상승 가능성은 존재한다.
7위.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 개봉일: 2025‑07‑16
- 관객수(주간/누적): 12.8만 / 65.1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12.4억 / 63.8억 원
- 스크린 수: 662개관
극장판 제28탄으로, 설원에서 벌어진 기억 조작 사건을 파헤치는 첩보 추리극이다. 블랙 조직의 움직임과 코난의 심리전이 치열하게 전개되며, 기존 작품보다 더 어두운 분위기를 보여준다. 여름방학 시즌을 겨냥한 타이틀로 장기 관람을 이어가고 있다.
8위. 비버핀 극장판: 사라진 비버핀과 핑크퐁 대모험
- 개봉일: 2025‑07‑24
- 관객수(주간/누적): 8.7만 / 15.5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8.0억 / 14.5억 원
- 스크린 수: 507개관
핑크퐁 유니버스의 새로운 극장판으로, 비버핀을 중심으로 한 우정과 구조의 메시지를 다룬다. 유아 대상 콘텐츠지만 다채로운 색감, 단순한 이야기 구조로 교육적인 효과도 고려되었다. 짧은 러닝타임과 안정된 팬층으로 어린이 관객을 타겟팅하고 있다.
9위. 노이즈
- 개봉일: 2025‑06‑25
- 관객수(주간/누적): 5.7만 / 169.4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5.6억 / 166.3억 원
- 스크린 수: 573개관
층간소음에 시달리던 자매와 이웃 사이의 갈등이 실종, 위협, 협박으로 번지는 스릴러. 주영은 실종된 동생 주희를 찾기 위해 귀가하고, 의심스러운 남자와 함께 위험한 진실에 접근한다. 현실적인 공포와 사회적 문제를 결합해 깊은 여운을 남기며, 이선빈, 김민석, 류경수 등이 출연했다. 장기 흥행 속 후반 관객 감소세를 맞이하고 있다.
10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개봉일: 2025‑07‑02
- 관객수(주간/누적): 5.0만 / 221.7만 명
- 매출액(주간/누적): 4.7억 / 210.9억 원
- 스크린 수: 490개관
공룡과 인간의 공존을 다룬 시리즈 최신작. 대도시로 진입한 공룡들의 활동과 인류의 대응 전략이 긴장감 있게 그려지며, VFX의 정점이라 불릴 정도로 시각효과가 돋보인다. 가족 단위 중심으로 꾸준한 관객을 끌어들이며 장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 총평
31주차 박스오피스는 완연한 여름 성수기 흐름 속에서 신작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좀비딸'은 압도적인 스크린 수와 화제성으로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를 장악했고, 기존 상위권 작품들도 일정 수준의 하락률 속에 순위를 지켰다. 반면 중하위권에서는 신작 애니메이션들이 어린이 관객층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고, 스릴러·판타지·가족물까지 장르 다양성이 유지되었다. 8월로 진입하며 남은 여름 대작들의 개봉이 예고된 가운데, 관객 쏠림이 한층 더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