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인터넷을 쓰다가 갑자기 인터넷이 느려지거나, 잘 들어가던 사이트가 안 열릴 때가 있죠? 이럴 땐 IP 주소를 한 번 바꿔보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어요.
너무 복잡한 설명은 빼고, 누구나 따라할 수 있게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 1. 공유기 전원을 껐다가 켜기
제일 먼저 해볼 수 있는 방법이에요. 대부분 집에서 쓰는 인터넷은 자동으로 IP가 바뀌는 방식이거든요. 그래서 공유기를 껐다가 다시 켜면 새 IP를 받을 수 있어요.
🧑🔧 이렇게 해보세요
- 공유기 전원을 코드 뽑거나 버튼으로 꺼주세요.
- 10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켜주세요.
- 인터넷이 다시 잘 되는지 확인해보세요.
📌 어떤 통신사(LG 같은 곳)는 IP가 잘 안 바뀔 수도 있어요. 그래도 한 번 시도해볼 만해요.
✅ 2. 핸드폰 테더링으로 연결해보기 (임시 해결)
갑자기 어떤 사이트만 안 열릴 때는, 핸드폰 데이터를 잠깐 빌려서 다른 길로 접속해 보는 방법도 있어요.
📱 이렇게 해요
- 핸드폰 설정에서 ‘모바일 핫스팟’을 켭니다.
- 컴퓨터나 노트북에서 그 핫스팟에 연결해요.
- 아까 안 되던 사이트에 접속해봅니다.
⚠ 데이터 요금이 나갈 수 있으니까 오래 쓰진 마세요.
✅ 3. 컴퓨터를 모뎀에 직접 연결해보기
공유기를 안 거치고, 인터넷 선이 나오는 모뎀에 컴퓨터를 바로 연결하면 IP가 새로 바뀔 수 있어요.
💻 이렇게 해요 (윈도우 컴퓨터)
- 컴퓨터를 공유기 대신 모뎀에 직접 랜선으로 꽂아요.
- 키보드에서 ‘윈도우키 + R’ 누르고 ‘cmd’ 입력해서 도스 창(CMD)을 열어요.
- 아래 글자들을 차례대로 입력해요:
ipconfig /release
ipconfig /renew
- 새로 인터넷이 잡히는지 확인해보세요.
이건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 잘 모르겠으면 생략해도 됩니다.
✅ 4. 공유기 설정에서 MAC 주소 바꾸기
공유기는 통신사에서 MAC 주소(기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IP를 할당받습니다. 이 값을 바꾸면 통신사 입장에선 ‘새 기기’로 인식하게 되어, IP를 새로 부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방법
-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0.1 또는 192.168.1.1 입력
- 공유기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 [고급 설정] → [인터넷 설정] → [MAC 주소 설정] 메뉴로 이동
- MAC 주소를 임의로 수정 (예: 00:11:22:33:44:55 → 00:11:22:33:44:56)
- 저장 후 공유기 재부팅
⚠ 기존 MAC 주소는 꼭 메모해두세요. 형식은 16진수(00~FF)를 지켜야 합니다.
🧾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어떤 상황일때 | 이렇게 해보세요 |
인터넷이 느릴 때 | 공유기 껐다가 10분 뒤에 다시 켜기 |
사이트가 안 열릴 때 | 핸드폰 핫스팟 연결해서 접속해보기 |
IP를 확실히 새로 받고 싶을 때 | 컴퓨터를 모뎀에 직접 연결하기 |
💬 마지막 한 마디
IP 주소는 자동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너무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어요.
처음엔 공유기 껐다 켜기부터, 잘 안 되면 핸드폰으로 연결해보기, 이 두 가지만 알아도 충분해요. 더 궁금한 게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