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 닥터 라슨 시즌2 방영 소식과 등장인물&출연진 줄거리 반응들 볼수 있는 곳?

DOC 닥터 라슨 시즌2 포스터

DOC 닥터 라슨 시즌2 (원제: Doc)은 2025년 FOX에서 방영된 미국 의학 드라마로, 교통사고로 8년간의 기억을 잃은 천재 의사 에이미 라슨 박사(몰리 파커 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시즌 1에서 라슨 박사는 기억 상실로 인해 레지던트(인턴) 과정부터 다시 시작하며, 과거의 비밀과 현재의 삶을 재건하는 과정을 그렸습니다. 이 시리즈는 의학적 긴장감과 감정적 깊이를 결합한 '의학 멜로' 스타일로, 한국에서는 NXT 채널을 통해 2025년 2월 1일부터 방영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DOC 닥터 라슨 시즌 2 방영소식

DOC 닥터 라슨 시즌2 포스터

DOC 닥터 라슨 시즌2는 2025년 2월 FOX로부터 갱신 소식을 전하며, 총 22개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2025년 9월 14일에 미국 FOX에서 프리미어 방송되었습니다. (현재 2025년 10월 10일 기준으로 약 4~5회 방영된 상태입니다.) 시즌 1의 성공(평균 시청자 약 230만 명)을 바탕으로, 라슨 박사의 기억 회복 과정이 깊어지며 병원의 권력 투쟁, 로맨스, 윤리적 딜레마가 강조됩니다. 주요 테마는 "잃어버린 시간과 과거의 실수"로, 라슨이 플래시백을 통해 과거 연인, 동료, 의학적 실패를 마주하는 여정을 그립니다.

등장인물 및 출연진

DOC 닥터 라슨 시즌2는 시즌 1 캐스트를 유지하면서 일부 캐릭터를 정규화하고 신규 인물을 추가했습니다. 아래는 주요 인물로, 캐릭터 설명과 배우의 대표작을 포함합니다.

에이미 라슨 박사 배우:몰리 파커 (Molly Parker)

에이미 라슨은 교통사고로 8년간의 기억을 잃은 천재 내과 의사로, 시즌 2에서 플래시백을 통해 과거의 실수(특히 환자 로지 케이스)와 제이크와의 연애, 마이클과의 결혼 생활을 마주하며 내과장 복귀를 목표로 고군분투합니다. 그녀의 기억 회복 과정은 감각 박탈 탱크 같은 실험적 치료로 이어지며, 병원 내 권력 투쟁(조안과의 경쟁)과 삼각 로맨스(제이크, 마이클)로 감정적 갈등이 깊어집니다. 라슨의 전문성과 인간적 취약함이 조화를 이루며, 시즌 2 초반 인질극에서 보여준 침착함과 윤리적 딜레마(장기 이식 거짓말에 대한 반응)로 중심축 역할을 합니다.

 

대표작: 데드우드 (Deadwood, 알마 가렛), 하우스 오브 카드 (House of Cards, 재키 샤프, 에미상 후보), 로스트 인 스페이스 (Lost in Space, 모린 로빈슨).

조안 리들리 박사 펠리시티 허프만 (Felicity Huffman)

시즌 2 신규 캐릭터로, 라슨의 의대 시절 멘토이자 웨스트사이드 병원의 새 내과장. 암 투병 비밀을 숨기며 병원 운영과 권력 구조를 장악하려 하지만, 라슨과의 과거(의대 시절 가르침)로 인해 복잡한 동맹과 갈등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녀의 카리스마와 냉철함은 병원 내 긴장감을 높이며, 특히 에피소드 3에서 충격적인 건강 관련 폭로로 서사를 뒤흔듭니다. 조안은 라슨의 기억 회복을 돕는 동시에 경쟁자로 작용해 시즌의 주요 갈등을 이끌어갑니다.

 

 

대표작: 위기의 주부들 (Desperate Housewives, 린넷 스캐보, 골든 글로브상), 아메리칸 크라임 (American Crime, 에미상 수상), 트랜스아메리카 (Transamerica, 오스카 후보).

 

 

마이클 함다 박사 – 배우:오마르 메트왈리 (Omar Metwally)

병원의 최고 의료 책임자(CMO)로, 라슨의 전 남편이자 딸 케이티의 아버지. 시즌 2에서 장기 이식 거짓말(에피소드 1) 같은 윤리적 논란에 휘말리며, 라슨과의 삼각 로맨스(제이크와의 경쟁)와 가족 문제(케이티와의 관계 회복 시도)로 갈등을 겪습니다. 그의 결정은 병원의 명성과 개인적 신념 사이에서 흔들리며, 과거 라슨과의 결혼 실패 원인이 플래시백으로 드러나며 서사를 풍부하게 합니다.

 

대표작: 렌디션 (Rendition, 안와르 엘-이브라히미), 미스터 로봇 (Mr. Robot,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디 어페어 (The Affair, 비크 울먼).

제이크 헬러 박사  존 마이클 에커 (Jon-Michael Ecker) 

치프 레지던트로, 라슨의 전 연인이자 병원 내 젊은 리더. 시즌 2 초반 라슨과의 이별 후 소냐와의 새로운 로맨스 가능성을 탐구하며, 팀 내 리더십을 발휘해 레지던트들을 이끌어갑니다. 에피소드 1의 인질극에서 침착한 대응으로 주목받으며, 라슨과의 과거(이별의 원인)와 새로운 관계로 감정적 갈등을 보여줍니다. 그의 매력과 전문성이 팀 드라마의 중심을 잡습니다.

 

대표작: 가십 걸: 아카풀코 (Gossip Girl: Acapulco, 니코), 퀸 오브 더 사우스 (Queen of the South, 구에로 다빌라), 파이어플라이 레인 (Firefly Lane, 맥스 브로디).

TJ 콜먼 박사  패트릭 워커 (Patrick Walker)

1년차 레지던트로, 라슨의 멘티이자 시즌 2에서 정규 캐릭터로 승격. 에피소드 1의 인질극에서 총상을 입으며 생사의 갈림길에 서고, 이후 물리치료(에피소드 2)와 전쟁 베테랑 환자 케이스(에피소드 3)로 활약합니다. 그의 열정과 윤리적 갈등(특히 심장 이식 케이스)은 라슨과의 멘토-멘티 관계를 심화시키며, 병원 내 젊은 세대의 희망을 상징합니다.

 

대표작: 레슨스 인 케미스트리 (Lessons in Chemistry, 웨이클리),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The Underground Railroad, 조연), 텔 미 라이즈 (Tell Me Lies, 조연).

지나 워커 박사 - 아미라 반 (Amirah Vann)

신경정신과 의사로, 라슨의 기억 회복을 돕는 조언자이자 병원 내 갈등의 중재자. 시즌 2에서 그녀의 전문적 조언은 라슨의 감각 박탈 탱크 치료나 윤리적 딜레마(예: 환자 속이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병원 스태프 간 인간적 연결고리를 제공합니다. 그녀의 따뜻한 성격은 팀 드라마의 균형을 잡아줍니다.

 

대표작: 하우 투 겟 어웨이 위드 머더 (How to Get Away with Murder, 타간 프라이스), 언더그라운드 (Underground, 레이첼), 아케인 (Arcane, 성우).

소냐 마이트라 박사 - 아냐 바네르지 (Anya Banerjee)

3년차 레지던트로, 제이크와의 잠재적 로맨스 암시로 시즌 2에서 더 입체적인 스토리를 얻습니다. 병원 내 동료들 간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라슨의 기억 회복 과정에서 간접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그녀의 활기찬 성격과 전문성은 팀 내 활력을 더하며, 새로운 로맨스 가능성으로 서사에 긴장감을 부여합니다.

 

대표작: 아웃포스트 (The Outpost, 탈리아), 헌터스 (Hunters, 조연), 블랙리스트 (The Blacklist, 시야 말릭).

케이티 함다 - 샬롯 파운틴-자딤 (Charlotte Fountain-Jardim)

라슨과 마이클의 딸로, 시즌 2에서 정규 캐릭터로 승격. 부모의 이혼 후유증과 병원 내 갈등(특히 라슨의 기억 상실로 인한 거리감)에 영향을 받으며, 가족 드라마의 감정적 중심을 이룹니다. 그녀의 시선은 라슨과 마이클의 관계를 재조명하며, 어린 나이에도 성숙한 반응으로 시청자 공감을 얻습니다.

 

대표작: 신인 배우로 닥터 라슨 (Doc)이 대표작. 로 앤 오더 (Law & Order, 단역).

 

리처드 밀러 박사 - 스콧 울프 (Scott Wolf)

임시 내과장으로, 병원의 행정적 안정성을 책임지며 라슨의 복귀 과정을 감독합니다. 시즌 2에서 조안의 내과장 취임으로 권력 다툼에 휘말리며, 라슨의 과거(특히 잃어버린 8년의 비밀)를 아는 듯한 뉘앙스로 그녀와 미묘한 긴장감을 형성합니다. 리처드는 조안의 강경한 리더십에 맞서 중재자 역할을 하지만, 자신의 경력과 병원 내 정치적 입지를 지키려는 욕망이 드러나며 복합적인 캐릭터로 발전합니다.

 

대표작: 파티 오브 파이브 (Party of Five, 베일리 새링저), 에버우드 (Everwood, 제이크 하트만), 낸시 드루 (Nancy Drew, 카슨 드루).

 

 

주요 줄거리

에피소드 1: 그녀의 심장 (Her Heart) 라슨의 과거 환자 로지의 심장 이식 대기 중 폐 문제가 발견되며, 로지의 아버지 알렉스가 과거 실수로 라슨을 원망해 총기를 들고 병원을 인질극으로 봉쇄합니다. TJ가 총상을 입고, 마이클은 장기 네트워크에 거짓말을 해 이식을 진행하지만, 로지가 결국 사망하며 라슨은 첫 번째 '진짜' 기억(과거 결정 장면)을 회복합니다. 제이크와의 관계가 흔들리고, 감각 박탈 탱크 치료로 더 많은 기억 회복을 시도하는 클리프행어로 끝납니다'

에피소드 2: 새로운 피 (New Blood) 라슨은 임산부 환자의 수수께끼 같은 질병 치료 중 기억 회복에 어려움을 겪으며, 멘토 조안 리들리 박사가 웨스트사이드 병원을 방문해 새로운 동역학을 만듭니다. TJ는 물리치료 중 베테랑 환자를 돕고, 병원 내 새로운 '피'(인물이나 변화)가 도입되며 라슨의 개인적 갈등이 깊어집니다.

에피소드 3: 위대한 망상 (Delusions of Grandeur) 라슨은 의료 관광 환자를 통해 도전을 맞닥뜨리고, TJ는 전쟁 베테랑의 의수 치료를 돕습니다. 조안이 충격적인 소식을 밝히며 병원 내 긴장감이 고조되며, 라슨의 기억과 전문적 판단이 시험대에 오릅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실험적 줄기세포 주사 케이스가 등장합니다.

에피소드 4: 증명할 것 (Something to Prove) 구형 의료 대리인 양식이 환자의 전 남편과 현재 파트너 간 긴장감을 유발하며, 라슨, 제이크, 그리고 새로운 인턴이 개입합니다. 라슨은 병원 내 소속감을 증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멘토 조안과의 경쟁이 부각됩니다. 새로운 스태프가 합류해 팀 역학이 변화합니다.

에피소드 5: 외줄타기 (Tightrope) 인기 다이어트 약물이 부부 관계의 균열을 드러내고, 두 자매가 예상치 못한 진단을 받습니다. 라슨은 이 '외줄타기' 같은 위기 속에서 기억 회복과 윤리적 선택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 애쓰며, 병원 내 개인적·전문적 압박이 절정에 달합니다.

관전 포인트

DOC 닥터 라슨 시즌2는 의학 드라마의 전형적 요소와 캐릭터 중심 서사를 결합해 몰입감을 높였습니다. 아래는 주요 관전 포인트입니다.

  • 기억 회복의 심리적 긴장감: 라슨의 플래시백과 조안과의 재회는 잃어버린 8년의 진실을 파헤치는 핵심. 개인적 트라우마와 정체성 탐구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특히 에피소드 1에서 회복된 이별 기억은 라슨의 감정적 갈등을 심화시킵니다.
  • 의학 액션과 윤리적 딜레마: 인질극(에피소드 1)과 종양 오진(에피소드 2) 같은 고강도 플롯이 긴장감을 제공합니다. 장기 이식 거짓말, 환자 속이기 같은 윤리적 갈등은 하우스(House M.D.)나 굿 닥터(The Good Doctor) 팬에게 어필할 현실성을 더합니다.
  • 복잡한 로맨스와 팀 역학: 라슨-제이크-마이클의 삼각 로맨스와 소냐의 새로운 로맨스 가능성이 감정적 서사를 풍부하게 합니다. TJ, 지나 등 서포팅 캐릭터의 활약으로 '팀 드라마' 요소가 강화되었습니다.
  • 신규 캐릭터의 활약: 조안 리들리(펠리시티 허프만)와 한나의 등장은 병원 내 권력 투쟁과 신선한 갈등을 만듭니다. 허프만의 연기는 비평가들로부터 시즌의 강점으로 꼽힙니다.

해외 반응 평가

DOC 닥터 라슨 시즌2는 해외에서 혼합된 반응을 얻고 있으며, 콘텐츠 평가 사이트(로튼 토마토, Rotten Tomatoes)에서 평균 평점 44%, 메타평론(Metacritic)에서 58/100을 기록 중입니다. 프리미어 에피소드는 414만 시청자를 끌어모아 시즌 1 평균(230만)보다 상승했으나, "인질극"이나 "암 비밀" 같은 클리셰적 플롯과 과도한 멜로드라마로 비판받습니다.

  • 긍정적 반응: 몰리 파커와 펠리시티 허프만의 연기, 심장 이식 케이스 같은 현실적인 의학 묘사가 호평받습니다. 영화 데이터베이스(IMDb) 사용자 리뷰(8.0/10)에서는 "감정적 몰입감"과 "캐릭터 균형"을 칭찬하며, 팬들은 "라슨의 여정에 공감"한다고 평가합니다.
  • 부정적 반응: 엔터테인먼트 사이트(Collider)와 미디엄(Medium)은 "로맨스 과잉"과 "익숙한 플롯"을 지적하며, 특히 한나 캐릭터가 "짜증 유발"한다고 비판합니다. 시즌 1의 신선함이 덜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소셜 미디어: 엑스(X)와 페이스북(Facebook)에서 팬덤은 강하지만, 중도 시청자 이탈 우려가 있습니다. 디사이더(Decider)는 "스트리밍 추천"이라며 긍정적이지만, 스크린 랜트(Screen Rant)는 서포팅 캐릭터 강조를 칭찬하면서도 "소프 오페라(Soap Opera)  느낌"을 경계합니다.

소프 오페라(Soap Opera)의 직역으로 '비누 드라마', 1930년대 미국 라디오에서 비누 회사가 제작·후원한 드라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주로 주부들이 시청하는 낮 시간대에 방송되었으며, 현재는 멜로드라마, 긴 호흡, 감상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TV 연속극 장르를 가리킵니다.

볼수 있는곳과 OTT 

DOC 닥터 라슨 시즌1를 방송한 NXT는 아직 소식이 없고 OTT는 국내는 방영되지 않았습니다. 시즌1,2는 국내에서 아쉽게도 볼수 없습니다. 미국 넷플릭스는 방영하는거 같습니다. 

 

마무리

DOC: 닥터 라슨은 그레이 아나토미(Grey's Anatomy)의 병원 내 권력 다툼과 삼각 로맨스 중심의 감정적 서사와 굿 닥터(The Good Doctor)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천재 의사 숀 머피의 윤리적·의학적 도전 대신 에이미 라슨의 기억 상실을 통한 심리적 여정으로 차별화된 몰입감을 선사하며, 몰리 파커와 펠리시티 허프만의 연기 및 현실적 의학 묘사(예: 심장 이식 케이스)로 해외 호평를 받았다. 국내 OTT나 방송에서 만나볼 날을 기대하며 이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