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드라마, 프랑스는 음악, 일본은 음식?나라마다 다른 한류 취향을 아시나요?


요약 | 한류는 전 세계인이 사랑하지만, 그 방식은 서로 다릅니다. 2025년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미국은 K-드라마, 프랑스는 K-팝, 일본은 K-푸드에 열광 중! 문화 소비는 국경을 넘지만, 취향은 여전히 '그 나라 사람들만의 것'이죠.


한류는 전 세계에서 사랑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같은 이유로 사랑하는 건 아닙니다

K-팝, K-드라마, K-푸드, K-뷰티…
'한류 콘텐츠'는 이제 글로벌 문화의 일부죠.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국가마다 가장 열광하는 분야가 다르다는 것!
2025년 《해외한류실태조사》에선, 18개국 소비자들의 한류 콘텐츠 선호도가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 미국은 ‘K-드라마’ 사랑꾼

미국 한류 팬들은 K-팝보다 K-드라마를 더 자주 소비하고 있어요.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에 이어 K-드라마들이 미국 시장을 강타했기 때문이죠.

  • 가장 많이 본 콘텐츠: 로맨스·복수극·사회문제 다룬 드라마
  • 인기 작품: 《더 글로리》,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사랑의 불시착》
  • 시청 플랫폼: 넷플릭스 > 유튜브 > 디즈니+

감정 중심 서사 + 캐릭터 중심 연출이 미국 시청자 감성을 파고들었습니다.


🎶 프랑스는 'K-팝'에 푹 빠졌다

프랑스는 유럽 내에서도 유독 K-팝 팬덤이 강한 나라예요.

  • 방탄소년단(BTS), 뉴진스, 스트레이 키즈의 콘서트 매진률 최고
  • ‘음악’과 함께 ‘안무’까지 따라하는 열정적인 팬들
  • 유튜브 뮤직, 틱톡 댄스 챌린지로 이어지는 K-팝 감상 문화

프랑스는 ‘예술성과 스타일’을 중시하는 문화 특성 덕분에,
K-팝의 화려한 퍼포먼스와 비주얼에 특히 매력을 느낍니다.


🍱 일본은 '한식'에 진심

한류의 원조격 국가, 일본은 여전히 ‘한식’에 열광 중입니다.
K-푸드 콘텐츠 시청 → 실생활 소비로 바로 연결되는 케이스죠.

  • 김치, 불고기, 삼겹살, 치즈떡볶이의 인기 지속
  • 한국 편의점 음식이나 카페 문화에 대한 관심도 큼
  • ‘먹방’ 콘텐츠 소비율도 높음 (한국 유튜버 영상 인기 많음)

특히 한국 식자재와 조리법까지 따라 하는 경향이 강해,
일본 내 K-푸드 팬들은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니라 ‘따라 만드는 재미’까지 즐긴다고 해요.


👗 동남아는 'K-뷰티'에 주목!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은 K-뷰티와 패션에 높은 관심을 보입니다.

  • 스킨케어 루틴 따라 하기, 한국 메이크업 스타일 모방
  • SNS에서 유명한 K-뷰티 인플루언서 팔로우
  • 로드숍 브랜드 → 온라인 직구로 연결

이들은 특히 ‘자연스럽고 맑은 피부 표현’,
그리고 ‘가벼운 텍스처’에 매료된다고 응답했어요.
기후 특성과 맞물려 한국 제품이 이상적이라는 인식도 확산 중입니다.


🎮 중국은 K-게임 & 웹툰,

🌍 중남미는 K-문화 전반 확산 중

중국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웹툰·게임 분야에서 한국 콘텐츠 영향력이 여전히 막강합니다.
한편, 브라질·멕시코 등 중남미 지역은 다양한 K-콘텐츠가 동시다발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한류 전체를 사랑하는 균형형 소비자층"이 특징입니다.


🎯 국가마다 다른 이유, 그 배경은?

한류 콘텐츠 소비는
그 나라의 문화적 기호, 사회 환경, 미디어 채널 접근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나라 인기 한류 콘텐츠 배경 요인
미국 드라마 OTT 플랫폼 강세, 캐릭터 중심 서사 선호
프랑스 K-팝 감각적인 음악·퍼포먼스에 대한 예술적 흥미
일본 한식 유사한 식문화, '따라 해보기' 문화
동남아 뷰티·패션 한국 스타일 선호, 기후에 맞는 제품 특성
중남미 전반적 확산 유튜브·SNS 중심의 콘텐츠 소비 문화

결론:

“한류는 같지만, 취향은 다르다”

한류는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랑받지만,
방식과 내용은 그 나라의 문화적 렌즈를 통해 해석됩니다.

같은 BTS도, 프랑스 팬은 무대를 기억하고
일본 팬은 인터뷰 속 인간적인 모습을 이야기하죠.
이런 다양성 속에서 한류는 더 강해지고, 더 넓어지고 있어요.


참고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_요약편」
  • 18개국 12,500명 대상 한류 콘텐츠 접촉률·선호도·소비 행동 조사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