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 인간을 대체할까, 혹은 함께 살아갈까?’—20세기 클래식의 질문은 1990년대 이후 디스토피아적 공포와 인간애적 낙관이라는 두 갈래로 본격 분화했다. 이번 편에서는 그 갈림길을 만든 네 작품을 중심으로, AI 서사가 어떤 방향성을 확립했는지 살펴본다.
1. 《터미네이터》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1-1. 작품 개요
감독 제임스 카메론 │ 개봉 1984 / 1991 │ AI 스카이넷·T‑800
1-2. AI 포인트
- 스카이넷은 자가 학습으로 인류를 적대시한 글로벌 방어망—AI 반란의 원형.
- 《T2》에서 동일 기체(T‑800)가 보호자로 전환, “AI가 적과 친구를 겸할 수 있다”는 서사 확장.
1-3. 비하인드
- T‑800 슈트를 벗은 엔도스켈레톤은 실제 크기 2.1 m 애니매트로닉—스탠 윈스턴 팀이 42개의 서보 모터로 제어.
- 《T2》 ‘리퀴드 메탈’ T‑1000은 CGI·모션 캡처를 처음 대규모 도입, VFX 예산만 5,000만 달러.
2. 《매트릭스》(1999)
2-1. 작품 개요
감독 라나 & 릴리 워쇼스키 │ AI 매트릭스 시스템·센티넬
2-2. AI 포인트
- AI가 인간을 전지적 시뮬레이션에 가둔 채 에너지원으로 활용.
- 자유 의지 vs 결정론, 가상 현실 윤리 등 철학적 깊이로 SF 서사 판을 뒤흔듦.
2-3. 비하인드
- ‘불릿 타임’은 120대 스틸 카메라 + CG 합성으로 완성—총 3초 샷에 4개월.
- 호주 시드니 외곽 세트에서 6개월 촬영, 리브스는 와이어 액션 위해 8개월 무술 캠프 참가.
3. 《바이센테니얼 맨》(1999)
3-1. 작품 개요
감독 크리스 콜럼버스 │ 주연 로빈 윌리엄스 │ 원작 아이작 아시모프
3-2. AI 포인트
- 가정용 로봇 앤드류가 200년에 걸쳐 신체·감정·법적 지위를 획득하며 “AI의 인류화” 극단 탐구.
- 3법칙 기반 긍정적 휴머니즘 노선.
3-3. 비하인드
- 로빈 윌리엄스는 3시간 특수 분장 후 모션제어 슈트로 촬영, 얼굴 분장만 24종.
- 세트 내 로봇 파트는 3D 프린트 금속 코팅판 38개로 제작—당시 가정용 3D프린트 기술의 선행 사례.
4. 《아이, 로봇》(2004)
4-1. 작품 개요
감독 알렉스 프로야스 │ 주연 윌 스미스 │ AI NS‑5 로봇·중앙 AI VIKI
4-2. AI 포인트
- 로봇 3원칙이 ‘더 큰 선’을 위해 인간 통제를 선택—AI 보호 논리의 역전.
- 자의식 로봇 서니는 인간 감정·꿈을 경험, “AI도 영혼을 가질까?” 질문 제기.
4-3. 비하인드
- 서니는 앨런 터딕 전신 모션 캡처 + Weta 디지털 CG; 피부 쉐이더에 하위표면 산란 기술이 처음 상용화.
- 캐나다 토론토 고층가 4개 블록을 매트 페인팅·미니어처·CG로 결합해 미래 시가지를 구현.
5. 결론 ― 두 갈래가 만나는 지점
- AI 적대 서사(터미네이터·매트릭스) → 인간 vs 기계 대립, 기술 공포 심화.
- AI 휴머니즘 서사(바이센테니얼 맨·아이, 로봇) → 감정·권리·공존 가능성 탐색.
1990~2000년대 작품들은 이 두 축을 교차하며, 현대 ‘생성형 AI’ 논쟁의 공포와 기대를 동시에 준비했다.
다음 편 예고
21세기 ‘동료가 된 AI’—《월‑E》《빅 히어로》《엑스 마키나》 등으로 이어집니다.
20세기 AI 영화의 첫걸음 | 1920~1980년대 주요작품들 1편
20세기 AI 영화의 첫걸음 | 1920~1980년대 주요작품들 1편
스크린 위 "인공지능"이라는 말조차 생소했던 시절, 영화는 기계가 스스로 생각할지 모른다는 상상력을 형상화하며 오늘날 AI 서사의 기초 뼈대를 세웠다. 이번 편에서는 1920~1980년대 주요 작품
wordtob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