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텐센트 · 야오커 문화가 내놓은 60부작 옴니버스 〈사조영웅문 2024〉는 본편 〈철혈단심〉(30부)로 시작해, 프리퀄 네 편을 ‘화산논검’ 묶음으로 선보인다. 그 첫 타자이자 가장 어두운 에피소드가 구음진경 8부이다.
2025판 구음진경 정보
- 제목: 화산논검 : 구음진경
- 방영: 2025‑07‑26(토) 18:00 CST, 텐센트비디오 독점
- 구성: 45분 × 8부 / 4K HDR
- 감독: 채악훈(蔡岳勋) 〈번화〉 〈목야〉
- 주요 배우: 주일위(황약사), 맹자의(매약화·매초풍), 하여(진현풍), 진도령(풍형)
- 톤: 고딕 호러 + 스릴러 ― 도화도 내부를 ‘저택 공포’처럼 연출하며, 흑풍쌍살 탄생 과정을 서늘하게 그린다.
1993년 TVB 《사조영웅전지 구음진경》 프리퀄 원조
1993년 4월 19일 홍콩 TVB가 방영한 20부작 드라마《사조영웅전지 구음진경(射鵰英雄傳之九陰真經)》은 『사조영웅전』 본편 이전 시점을 다룬 원전 최초의 오리지널 프리퀄이다. 강대위(황약사), 관보혜(매초풍), 장지림(진현풍) 등이 출연했으며, 도화도 비극과 ‘황약사×풍형’을 중심축으로 삼아 흑풍쌍살 탄생기를 클래식 TVB 감성—와이어 액션·세트 특유의 조명—으로 그려 냈다.
이 작품은 황약사의 인간적 면모와 도화도 제자들의 몰락 과정을 정통 무협 서사 안에 멜로드라마적 정서를 섞어낸 점이 특징이다. 팬덤에서는 ‘황약사 입덕작’으로 불리고 있다.
주요 등장인물과 출연진
매초풍–배우:맹자의(孟子义)
《구음진경》 의 실제 주인공. 본명은 매약화. 가족을 몰살당한 뒤 기녀로 팔려가 고통의 나날을 보내다가 황약사에게 구원받아 ‘매초풍’이라는 이름으로 도화도에 입문한다. 강한 복수심과 생존 본능으로 무공을 익히고, 도하도에서 사제 간 갈등과 감정을 겪으며 성장한다. 진현풍과 함께 《구음진경》을 절취하고 흑풍쌍살로 불리게 된 뒤, 본편에서 이야기로 초원에서 강남칠괴 및 어린곽정과 충돌하며 실명에 이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본편에서는 공포의 존재로 등장하며, 곽정이 처음 맞서는 중대한 벽으로 기능한다.
진현풍–배우:하여(何与)
도화도 2제자 중 하나로, 본래 장난기 많고 유쾌한 성격이다. 매초풍과는 도화도 입문 초기부터 티격태격하지만, 함께 화융화 원정에 나서며 동료로 신뢰를 쌓아 간다. 매초풍이 복수를 위해 구운해산장을 급습했다 중독되었을 때 그녀를 구출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후 함께 《구음진경》을 절취해 도주하면서 ‘흑풍쌍살’이라 불리게 되고, 본편 『사조영웅문』에서는 강남칠괴와 곽정의 연계 전투 중 전사한다. 그의 죽음은 매초풍이 광기로 치닫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황약사–배우:주일위(周一围)
도화도 주인, 별호 ‘동사’. 천문·지리·의학·음양에 통달한 기인이자, 스스로 정의를 재단하는 편벽(偏僻)의 화신이지만 가족과 제자에게는 깊은 정을 지닌다. 도화도에 머무는 동안 제자들에게 무공을 전수하며, 복수심을 안고 찾아온 매초풍에게도 예외 없이 무공과 내공을 나눠준다. 도화도는 그의 이상향이자, 질서와 충절을 중시하는 사제 관계의 상징이었으나, 매초풍과 진현풍의 배신 이후 내부 질서가 무너지고 황약사는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간다. 이후 철혈단심 시점에서 황용과 곽정의 등장을 계기로 다시 세상과 마주하게 된다.
풍형 – 배우: 진도령(陈都灵)
황약사의 아내로, 몸에 음한기가 있어 늘 병약하다. 마음이 따뜻하고 사형제들과 매약화를 자식처럼 아낀다. 그녀는 극 중 정서적 중심을 이루며, 매약화가 복수를 향해 치닫는 과정에서 양심의 거울과 같은 존재로 작용한다. 마지막까지 아이를 지키려는 어머니의 모습은 강한 울림을 준다. , 주백통이 보관 중이던 《구음진경》 상권을 ‘그저 흔한 의서’인 양 속여 잠시 빌려 보더니 한 번 훑어본 것만으로 전권을 암기했다. 이후 황약사를 도우려 독자적으로 진경을 서서 전달하지만 황약사는 거절하고 보물창고에 봉인한다.이것이 도화도의 붕괴의 불씨가 되어 매초풍과 진현풍이 배신을 한다. 그 사건이후로 임신하게되고 과로까지 겹처 죽게된다.
곡령풍 – 배우: 대향우(戴向宇)
황약사의 첫 제자로, 서화·진기 수집과 경공·암기에 능했다. 황약사에게서 ‘벽공척혈수(劈空摘穴手)’ 등 수식(數式)을 전수받아 기이한 비도술을 익힌다. 황궁 서화를 훔치다 근위의 창에 중상을 입고 폐가(廢家)로 쓰이던 빈 사원에 몸을 숨기지만, 결국 상처가 악화돼 숨을 거둔다. 철혈단심편에서 그의 시신 곁에 숨겨 둔 서화 단서가 곽정·황용에게 도화도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그의 외동딸 곡아고(曲阿姑) — 머리에 조화를 꽂고 동요를 부르는 정신이 온전치 않은 소녀 — 가 짧게 등장해 서화를 건네고 사라진다. 곡아고는 지적 장애로 무예를 익혀 강력해 보일뿐 바닥이 금방 들어난다.
육승풍– 배우: 엽조신(叶祖新)
황약사의 셋째 제자로, 과묵하고 무뚝뚝한 성격이지만 내면은 따뜻하고 의리가 깊다. 유파도 사건 당시 매약화의 판단력을 신뢰하고 위기에서 함께 협력한다. 결계가 파괴된 뒤 다리에 중상을 입어 절뚝거리게 되며, 도화도의 균형이 깨지는 계기가 된다.
황약사 제자 가운데 유일하게 ‘선한 전향’에 성공한 인물. 기문둔갑·풍수·문물 감식에 밝다. 도화도 추방 뒤 장강 연안에서 가족과 함께 귀운장(归云庄)을 세워 은거한다. 철혈단심편 장강에서 곽정·황용의 박학(博學)에 감탄해 두 사람을 귀운장으로 초청, 고서·청동기·자기 등 예술품을 논한다. 이 자리에서 양강이 ‘가짜 구천인(裘千仞)’을 앞세워 침투하고, 매초풍과 진현풍이 얽힌 초원 시절 원한까지 교차 노출돼 갈등이 폭발한다. 최후에는 황약사가 등장해 육승풍을 용서하고, 매초풍의 독상(毒傷) 치료법을 전수하며 곽정·황용과의 답답한 삼자(三者) 대면이 벌어진다. 가족·후손: 아들 육관영(陸冠英)이 거지방 장로 급으로 성장해, 곽정과 강남칠괴 라인을 이어 준다.
무면풍– 배우: 사홍흠(谢鸿鑫)
황약사의 넷째 제자로, 다정하고 붙임성 있는 성격으로 도화도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한다. 매약화를 처음부터 편견 없이 대해주며, 그녀가 도화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화융화 수색 작전에도 함께하며 적극적으로 형제애를 발휘한다. 도화도 파괴 이후 역시 다리에 부상을 입는다. 철현단심편에서는 거론되지 않는다.
풍묵풍 – 배우: 부백함(傅铂涵)
도화도의 막내 제자로, 후반부에 등장하여 사형들과 매약화가 유파도에서 구해온 인물이다. 과거 실험체로 고초를 겪은 경험이 있어 심약하지만, 도화도에서는 천진난만하고 따뜻한 면을 보인다. 매약화가 절망에 빠졌을 때 자작한 의족을 건네주는 등 중요한 정서적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신조협려에서 철퇴·대장장이 기술 전문가로 초반 양양 전투에서 금륜법왕을 껴안고 자폭하며 장렬히 전사한다. 혈맥은 끊긴다.
주백통 – 배우: 전뢰(田雷)
천하의 기인으로, 무공 실력은 절정이지만 행동은 아이처럼 자유롭고 괴짜 같다. 황약사가 주화입마할 위험에 처했을 때 이를 간파하고 도와주는 등 예리한 통찰력도 지니고 있다. 풍형이 구음진경을 얻기 위해 그의 성향을 이용하는 장면은 극 중 주요 반전 포인트.
《철혈단심》에서 주백통은 구음진경을 전하는 열쇠를 쥔 인물로, 이후 곽정과의 인연으로 이어진다.
구운해 – 배우: 이동항(李东恒)
매씨 가문의 원수로, 매약화를 유곽에 팔아넘기고, 무림에서 야심을 키우는 인물. 표면상 의협을 가장하지만 속은 잔혹하고 교활하며, 매약화의 복수를 자극하는 핵심 인물이다. 후에 매약화와의 여러 차례 대결을 통해 악인의 종말을 암시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설청의 – 배우: 계신(季晨)
유파도의 주인으로, 겉보기엔 온화하고 친절하지만, 실제로는 사람을 생체 실험 대상으로 삼는 사악한 인물이다. 매약화 일행이 약재를 구하러 갔을 때 본색을 드러내며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로, 그녀의 위기 감지 능력을 돋보이게 한다.
줄거리 요약
몰살과 구원 — 매약화, 매초풍이 되다
남송 임안부의 부호 매가(梅家)는 해상 거상 구운해가 꾸민 야욕에 밤사이 몰살된다. 외동딸 매약화만이 기녀로 팔려 살아남지만, 가족을 잃은 피의 기억 속에서 복수심만 키운다. 세월 후 구운해와 재회한 자리에서 시해 사건이 벌어지고, 추격대에 내몰린 약화는 무공 수련 중이던 황약사에게 구출‑보호를 받는다. 약화는 무릎꿇어 제자 되기를 청하고, 황약사는 세 수(手)의 내공을 전수한 뒤 그녀를 도화도로 데려가 ‘매초풍’이라는 도호를 하사한다. 황약사의 연인 풍형 역시 그녀를 감싸며 새로운 식구로 맞이한다.
도화도의 일상과 균열 — 사제(師弟)·화융화 원정
도화도에는 이미 네 제자(곡·진·육·무)가 있었고, 장난기 많은 진현풍과 매초풍은 첫날부터 티격태격한다. 그러나 풍형의 고질적 한독(寒毒)을 치료할 약재 화융화(火绒花)를 찾는다며 다섯 사제는 무인도 류파도(流波島)로 원정에 나선다. 그곳의 설도주는 실은 약노(藥奴)를 학대하는 독약 연구자. 세 사형이 거대한 약탕에 갇히지만 매초풍·진현풍이 노예 소년 사구의 도움으로 구출하고, 화융화 채취에 성공한다. 도망친 사구는 도화도에 귀의하여 풍묵풍이라는 막내 제자가 된다.
복수의 재점화 — 구운해전·중독·패혈
풍형의 병세가 차도에 들자 황약사는 그녀와 여행을 계획한다. 매초풍은 복수를 포기하지 못해 진현풍과 몰래 섬을 떠나 구운해산장을 급습하지만, 구운해의 강공과 독에 당해 힘줄이 절단‑중독된다. 진현풍이 가까스로 구출해 도화도로 귀환, 황약사는 밤새 내공을 소진해 매초풍의 독을 해독하지만 그녀의 두 다리는 걷지 못하게 된다. 동시에 여행 중 만난 주백통은 황약사의 내공이 상극이라 경고하고, 풍형은 이를 막기 위해 《구음진경》 상권 일부를 암기‑탈취한다. 이 선택은 훗날 경전 쟁탈전과 도화도 붕괴, 나아가 ‘흑풍쌍살’ 비극의 불씨가 된다.
관전 포인트
1. 도화도 붕괴의 내막 – '사제의 틈'이 부른 파국
스승 황약사의 이상과 제자 매초풍·진현풍의 욕망이 충돌하며, 도화도라는 폐쇄된 공간에서 감정과 무공이 파열된다. 충절과 배신, 사랑과 죄의식이 엇갈리며 문파 자체가 붕괴되는 과정이 핵심 플롯으로 전개된다.
2. 흑풍쌍살 무공 구현 – ‘구음백골조’ 손톱 액션
매초풍과 진현풍이 사용한 절학 ‘구음백골조’는 CG와 와이어, 특수 분장으로 구현되어, 손톱을 이용한 육박전이 시청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특히 원테이크로 구성된 6분 격투 장면은 이 드라마의 대표 액션 시퀀스로 손꼽힌다.
3. 금기의 사랑, 비극의 기원
매초풍과 진현풍의 관계는 단순한 러브라인이 아닌, 문파 파멸의 기폭제로 작동한다. 황약사의 금기를 어긴 이들의 사랑은 무공 탐욕과 도화도의 붕괴로 이어지며, 후대(철혈단심 시점)까지 그림자를 드리운다.
4. 정통 무협 세계관의 ‘전사 복원’
《화산논검: 구음진경》은 황약사와 도화도, 구음진경을 둘러싼 원작의 과거 서사를 정통 무협 문법으로 복원했다. '철팔괘 밀실', '서화 지하실 유골' 같은 장면은 원작 기반 설정에 충실한 구성으로, 세계관의 전사를 체험하게 해준다.
방영정보와 OTT
- 《화산논검: 구음진경》의 공식 정식 공개 WeTV입니다.
- 2025년 7월 26일부터 회원 전용 서비스로 전 회 차 스트리밍 가능하다.
- 가입만으로 현재 3화까지 볼수 있습니다.
화산논검: 구음진경_01회 - 무료 - 중국 대륙 - 드라마 - 무협 - 시대극 - 주일위,맹자의,하여,천두
김용 선생님의 고전 저작과 그 속에 담긴 의협 정신을 바탕으로, 새로운 형식으로 김용 강호의 웅장한 서사를 그렸다. 고전을 기점으로 오절의 전사를 이어가면서, 원작의 여백에 강호의 이야기
wetv.vip
🧩 무너진 도화도의 잔향, 철혈단심으로 이어지다
《화산논검: 구음진경》은 도화도를 중심으로 펼쳐진 배신과 금기의 서사를 통해, 문파의 붕괴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세대와 시대를 가르는 갈림길임을 보여준다. 제자들의 욕망, 스승의 이상, 무공에 대한 집착이 얽혀 만들어낸 비극은 이후 《철혈단심》에서 곽정과 황용이 마주하는 무림의 세계에 깊은 그림자로 이어진다. 도화도의 잔재와 그들이 남긴 상흔은, 단순한 과거사가 아닌 무림 전설의 시작점으로 다시 떠오른다.
구음진경외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
사조영웅문 2024 후편 화산논검: 구음진경·동사서독·남제북개·오절쟁봉 방영소식
사조영웅문 2024 후편 화산논검: 구음진경·동사서독·남제북개·오절쟁봉 방영소식
‘사조영웅문 2024’가 남긴 공백, 그리고 ‘화산논검’으로 돌아오는 이유김용 100주년 프로젝트 〈사조영웅문 2024: 무협의 세계〉는 지난해 ‘철혈단심’ 30부만을 끝까지 내보낸 뒤, “다섯 고
wordtobus.com
사조영웅전 2024 정보와 보는 곳, 등장인물
2024년 최신 버전의 사조영웅전(射雕英雄传)은 김용의 고전 무협 소설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한 드라마입니다. 이 글에서는 사조영웅전 2024의 정보와 시청 가능한 플랫폼, 주요 등장인물,
wordtobus.com
의천도룡기 2019 | 등순위x진옥기 | 등장인물&출연진 | 줄거리 | 다시보기
의천도룡기 2019 | 등순위x진옥기 | 등장인물&출연진 | 줄거리 | 다시보기
《의천도룡기 2019》김용(金庸)의 동명 무협 소설을 원작으로 한 중국 드라마로, 영웅문1,2,3의 마지막 작품입니다. 원나라 말기와 명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의천검과 도룡도를 둘러싼 무림의 갈
wordtob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