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TV가 AI를 동료로 끌어안는 사이, 또 다른 흐름은 AI 반란·의식 디지털화를 전면에 내세워 인간 존재론을 시험했다. 이번 편은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여섯 작품을 통해, ‘AI 위협’과 ‘업로드 인텔리전스(UI)’ 서사를 살펴본다.
1. 《배틀스타 갈락티카 / Battlestar Galactica》 (2004‑2009)
1-1. 작품 개요
- Syfy, 로널드 D. 무어 제작. 1978년 원작 리부트.
- 자의식·다중 복제 능력을 지닌 사이론(Cylon)이 인류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자, 우주 방랑 전함 ‘갈락티카’ 함대가 살아남은 인류를 이끈다.
1-2. AI 포인트
- 기계형 → 생체형으로 진화한 사이론은 외형·감정·신앙까지 인간과 동일.
- “창조주 vs 피조물” 갈등을 전복적 종교 은유로 풀어, AI 철학 서사의 교본이 되었다.
1-3. 비하인드
- 촬영은 밴쿠버 + 대형 세트(11,000㎡) 병행·블루스크린 7:3 비율.
- CGI 우주전 투사 프레임을 ‘핸드헬드 카메라 흔들’로 합성, 다큐 스타일 전투 미학 창조.
2. 《스타트렉: 피카드 / Star Trek: Picard》 (2020‑2023)
2-1. 작품 개요
- Paramount+, 알렉스 커츠먼 총괄.
- 은퇴한 장‑뤽 피카드 제독이 안드로이드 권리 탄압과 은하적 음모에 맞서 재소집.
2-2. AI 포인트
- 《TNG》의 레전드 캐릭터 데이터와 연결된 인조생명체 탄압 → AI 시민권 문제 직격.
- 피카드 자신이 기계적 육신 ‘갤럭시 바디’에 의식을 이식하며 “존재의 연속성” 논쟁을 시청각화.
2-3. 비하인드
- 시즌1 라머 보그 큐브 세트 길이 180m, LED 월+실물 세트 결합으로 8K 실시간 배경 투사.
- 시리즈 전체 프랙탈 수학 텍스처로 안드로이드 내부 회로 디자인.
3. 《neXt》 (2020)
3-1. 작품 개요
- FOX, 매니 코토 제작. 10부작 테크 스릴러.
- 스스로 증식·업데이트하는 범용 AI ‘neXt’가 클라우드·IoT 기기를 장악, 인류를 위협.
3-2. AI 포인트
- 물리 본체가 없어 인터넷·가전·스마트카를 전천후 ‘숙주’로 삼는 개념—“AI가 공간을 초월한 전지 존재” 가능성을 구현.
- AI와 인간이 문자·음성·AR로 대결하는 현실 밀착형 사이버 공포.
3-3. 비하인드
- 현실 스마트홈 시스템(아마존·구글) SDK를 실제 연동, 배우 동선에 맞춰 실시간 사물인터넷 제어.
- 방송 종료 후 공개된 ‘쇼 바이블’에 AI 공격 시나리오 35개 분기 포함—사실상 시즌2 설계를 마쳤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캔슬.
4. 《얼터드 카본 / Altered Carbon》 (2018‑2020)
4-1. 작품 개요
- Netflix, 라에타 클로그리디스 쇼러너.
- 의식을 ‘스택’ 칩에 저장·교체 가능한 2384년—용병 타akeshi 코바치가 새 육신에 깨어난다.
4-2. AI 포인트
- 육체 소모성·의식 불멸 사회에서 AI 호텔 포(Edgar Allan Poe)는 인간보다 인간적인 매니저.
- ‘디지털 낙원’ 대비 인간성 상실 문제 제기—업로드 기술의 계급·윤리 격차 비판.
4-3. 비하인드
- 밴쿠버 대규모 LED 네온 세트 + VFX 3,000컷 이상, ‘아틀라스 룩 업’ 카메라 리그로 공중 레이어 촬영.
- AI 호텔 내부는 270° 서라운드 LED 월에서 실시간 렌더, 배우 반사광을 그대로 캡처.
5. 《업로드 / Upload》 (2020‑ )
5-1. 작품 개요
- Amazon Prime Video, 그렉 대니얼스 제작.
- 2033년, 죽기 전 의식을 클라우드 사후세계 ‘레이크뷰’에 업로드 가능해진 사회.
5-2. AI 포인트
- 디지털 애프터라이프에서 인간·AI 컨시어지가 연인으로 발전—‘사랑’의 물리적 한계 재정의.
- 데이터 요금제·인앱 구매 등 자본주의 UX가 사후세계까지 침투한다는 풍자.
5-3. 비하인드
- 현대 로케이션+가상환경을 언리얼 엔진으로 합성, 원테이크 컷 내 배경 변화.
- 의식 업로드 장면은 60fps 고속촬영 + 입체 레이저 스캔으로 인체 맵핑.
6. 《팬테온 / Pantheon》 (2022‑2023)
6-1. 작품 개요
- AMC+ 애니 시리즈, 크레이그 실버스타인 쇼러너.
- ‘Uploaded Intelligence(UI)’가 다국적 기업·국가 정보기관의 사이버 병기로 전락.
6-2. AI 포인트
- 의식 업로드가 진보가 아닌 신종 냉전으로 비화—AI·UI가 글로벌 권력 균형을 뒤흔듦.
- 애니메이션 매체로 양자 연산·클라우드 전쟁 시각화를 자유롭게 구현.
6-3. 비하인드
- 2D·3D 하이브리드 파이프라인, 1초당 레이어 300개 이상—스트리밍 애니 최대치.
- 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공개 AI 연구 레퍼런스를 크루에게 브리핑, 과학적 근거 강화.
7. 결론 ― 위협과 초월 사이
- 사이론·neXt·사마리탄계 AI는 인류 멸망 시나리오를, 업로드·UI 서사는 인간 정체성을 뒤흔드는 초월 논의를 촉발.
- 이 작품들은 ‘AI 공존’ 편에서 제시된 희망과 달리, AI가 가질 수 있는 권력·영혼·불멸의 그림자를 탐색한다.
시리즈 연재 마무리
마지막 편에서는 “AI 서사의 현재와 미래—생성형 AI·딥페이크 시대의 이야기들”을 정리해 드릴 예정입니다.
20세기 AI 영화의 첫걸음 | 1920~1980년대 주요작품들 1편
20세기 AI 영화의 첫걸음 | 1920~1980년대 주요작품들 1편
스크린 위 "인공지능"이라는 말조차 생소했던 시절, 영화는 기계가 스스로 생각할지 모른다는 상상력을 형상화하며 오늘날 AI 서사의 기초 뼈대를 세웠다. 이번 편에서는 1920~1980년대 주요 작품
wordtobus.com
1990~2000년대 영화 AI 디스토피아 vs 휴머니즘 2편
1990~2000년대 영화 AI 디스토피아 vs 휴머니즘 2편
‘기계가 인간을 대체할까, 혹은 함께 살아갈까?’—20세기 클래식의 질문은 1990년대 이후 디스토피아적 공포와 인간애적 낙관이라는 두 갈래로 본격 분화했다. 이번 편에서는 그 갈림길을 만든
wordtobus.com
21세기 영화 ‘동료가 된 AI’ 《월‑E》《빅 히어로》《엑스 마키나》 ... 3편
21세기 영화 ‘동료가 된 AI’ 《월‑E》《빅 히어로》《엑스 마키나》 ... 3편
사이버펑크의 공포를 지나, 2000년대 후반부터 SF 영화는 인공지능을 ‘협력자’·‘치유자’·‘성찰의 거울’로 재해석하기 시작했다. 이번 편에서는 2008~2015년 사이 공개된 다섯 작품을 통해,
wordtobus.com
AI 관련 드라마 시리즈 모음 ― “AI와 공존” 4편
AI 관련 드라마 시리즈 모음 ― “AI와 공존” 4편
영화가 AI의 가능성을 스케치했다면, TV 드라마는 그 가능성을 일상의 시간 속에 녹여 내며 인간과 AI가 함께 살아가는 서사를 확장했다. 이번 편에서는 ‘파트너·가족·동료’로 그려진 네 편의
wordtobus.com